제6회 비례대표제포럼 초청장
안녕하십니까?
세월호 참사 이후 한국의 정치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유난히 커지고 있습니다.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모든 제도와 조직은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는 역사적 산물입니다. 특히 정치제도는 국민들의 합의와 변혁을 요구하는 시대정신이 반영되어 형성되어 집니다. 그러나 한국의 정치제도는 국민의 합의를 통해 만들어진 제도가 아닙니다. 독립과 통일, 민주라는 역사적 시대적 가치도 실현하지 못했습니다. 독재에 항거하는 시민들의 강력한 요구에 밀린 친일과 독재세력이 부분적 합의를 통해 만들어진 미완의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민주정치는 모든 시민의 생명과 안전, 특히 우리 사회의 다수를 구성하는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위해 존재해야 합니다.
그러한 민주정치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때입니다.
비례대표제 확대를 통한 합의제민주주의 실현이 민주정치의 강화라고 믿습니다. 이를 통해 민의가 반영되는 합의와 조정의 정치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는 7월 4일에 “비례대표제와 한국의 미래”라는 주제로 대규모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안중근평화원구원이 주관하고 비례대표제포럼과 신계륜의원, 홍종학의원 등이 공동 주최합니다.
우리 시민들, 특히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는 새로운 정치형태의 변화를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4년 6월 24일
(사)안중근평화연구원 이사장 함세웅드립니다.
제6회 비례대표제포럼
“비례대표제와 한국의 미래”
2014. 7. 4(금)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
주관: 안중근평화연구원
주최: 비례대표제포럼, 신계륜 의원실, 홍종학 의원실
□ 인사말
12시30분-1시
○ 함세웅 신부(안중근평화연구원 이사장)
○ 최병모 변호사(비례대표제포럼 공동대표)
□ 첫 번째 100분 토론: 합의제 민주주의와 사회적 합의주의
1시-2시40분
사회: 서해성 작가
○ 비례대표제의 기원: 누가 왜 비례대표제를 도입했는가?
- 박동천 전북대 교수
○ 아메리칸 드림 vs 유러피언 드림: 비례대표제가 관건이다.
- 최태욱 한림국제대학원대 교수
○ ‘사회적 합의주의’(social corporatism)와 비례대표제
- 이호근 전북대 교수
○ 종합토론: 김윤태 고려대 교수, 백승헌 변호사, 손정욱 비례대표제포럼
청년위원장
□ 두 번째 100분 토론: 조정시장경제와 복지국가
2시50분-4시30분
사회: 윤원일 안중근평화연구원 사무총장
○ 조정시장경제의 발전과 비례대표제
- 장진호 광주과기원 교수
○ 노동시장의 유연안정성과 비례대표제: 덴마크·네덜란드의 비교와 한국적 함의 - 선학태 전남대 교수
○ 복지국가 건설과 비례대표제
- 신동면 경희대 교수
○ 종합토론
제6회 비례대표제포럼 초청장
안녕하십니까?
세월호 참사 이후 한국의 정치를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유난히 커지고 있습니다.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모든 제도와 조직은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되는 역사적 산물입니다. 특히 정치제도는 국민들의 합의와 변혁을 요구하는 시대정신이 반영되어 형성되어 집니다. 그러나 한국의 정치제도는 국민의 합의를 통해 만들어진 제도가 아닙니다. 독립과 통일, 민주라는 역사적 시대적 가치도 실현하지 못했습니다. 독재에 항거하는 시민들의 강력한 요구에 밀린 친일과 독재세력이 부분적 합의를 통해 만들어진 미완의 제도이기 때문입니다. 민주정치는 모든 시민의 생명과 안전, 특히 우리 사회의 다수를 구성하는 가난하고 힘없는 사람들을 위해 존재해야 합니다.
그러한 민주정치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지혜를 모아야 할 때입니다.
비례대표제 확대를 통한 합의제민주주의 실현이 민주정치의 강화라고 믿습니다. 이를 통해 민의가 반영되는 합의와 조정의 정치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는 7월 4일에 “비례대표제와 한국의 미래”라는 주제로 대규모 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안중근평화원구원이 주관하고 비례대표제포럼과 신계륜의원, 홍종학의원 등이 공동 주최합니다.
우리 시민들, 특히 청년들에게 희망을 주는 새로운 정치형태의 변화를 논의하는 자리입니다.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4년 6월 24일
(사)안중근평화연구원 이사장 함세웅드립니다.
제6회 비례대표제포럼
“비례대표제와 한국의 미래”
2014. 7. 4(금)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
주관: 안중근평화연구원
주최: 비례대표제포럼, 신계륜 의원실, 홍종학 의원실
□ 인사말
12시30분-1시
○ 함세웅 신부(안중근평화연구원 이사장)
○ 최병모 변호사(비례대표제포럼 공동대표)
□ 첫 번째 100분 토론: 합의제 민주주의와 사회적 합의주의
1시-2시40분
사회: 서해성 작가
○ 비례대표제의 기원: 누가 왜 비례대표제를 도입했는가?
- 박동천 전북대 교수
○ 아메리칸 드림 vs 유러피언 드림: 비례대표제가 관건이다.
- 최태욱 한림국제대학원대 교수
○ ‘사회적 합의주의’(social corporatism)와 비례대표제
- 이호근 전북대 교수
○ 종합토론: 김윤태 고려대 교수, 백승헌 변호사, 손정욱 비례대표제포럼
청년위원장
□ 두 번째 100분 토론: 조정시장경제와 복지국가
2시50분-4시30분
사회: 윤원일 안중근평화연구원 사무총장
○ 조정시장경제의 발전과 비례대표제
- 장진호 광주과기원 교수
○ 노동시장의 유연안정성과 비례대표제: 덴마크·네덜란드의 비교와 한국적 함의 - 선학태 전남대 교수
○ 복지국가 건설과 비례대표제
- 신동면 경희대 교수
○ 종합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