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민주항쟁기념 학술대토론회에 초대합니다.
행사당일 중식이 제공됩니다.
회원님들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
- 이하 초대글, 행사순서 -
모시는 글
1987년 6월, 우리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으로 하나가 되었습니다. 지역, 계층, 세대 등 모든 차이를 넘어선 거대한 함성이 전국 방방곡곡에 울려 퍼졌습니다. 그 후 우리의 민주주의는 절차적으로 많은 발전을 거듭했습니다.
그러나 19년이 지난 지금 한국의 민주주의는 커다란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민주주의의 심화·확대를 가로막는 제약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화해와 협력이 진전되고 있지만 남북분단체제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고, 북미 간 대결 상황은 한반도에서의 평화정착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극심한 사회양국화에 처해 있습니다. 당면한 도전을 창조적으로 극복하지 못하면 우리의 민주주의의 장래는 보장될 수 없을 것입니다.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커져가는 가운데 6월민주항쟁 19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이에 6월 민중항쟁을 어떻게 기념하고 계승·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해, 또한 6월항쟁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면서 민주화·세계화 이후 시대의 한국 민주주의의 현주소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민해 보고자 합니다.
더불어 향후 한국 민주주의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대안들도 진지하게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부디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06년 6월 15일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이사장 함세웅
'6월 민주항쟁과 한국민주주의의 현주소'
○ 일시 : 2006년 6월 29일(목) 09:30~18:00
○ 장소 : 한국언론재단(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
○ 순서
▲ 제1부(10:00) : 6월민주항쟁의 기념과 계승·발전
-사 회 : 안병욱
-발표1 : 정해구
한국 민주주의 전개의 특징과 6월민주항쟁의 기념
-발표2 : 김상곤
민주화운동의 계승과 발전 : 87항쟁이후 사회운동의 평가와 전망
-토 론 : 김태일, 이태호, 정근식, 정성헌
▲ 제2부(13:00) : 민주화·세계화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사 회 : 김호기
-발표1 : 박명림
헌정민주주의와 민주헌정주의 : 민주헌정20년의 성찰과 대안
-발표2 : 장상환
세계화 이후 경제·사회 민주주의의 현주소
-토 론 : 김제선, 김형기, 박찬표, 신광영
▲ 제3부(15:20) : 종합토론
-사 회 : 서중석
-기조 발제 : 최장집
한국의 민주화와 제도적 실천으로서의 민주주의
-토론 : 김상봉, 김호기, 손호철, 안병욱, 이병천, 이종오, 정현백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행사당일 중식이 제공됩니다.
회원님들의 많은 참석 바랍니다.
- 이하 초대글, 행사순서 -
모시는 글
1987년 6월, 우리는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으로 하나가 되었습니다. 지역, 계층, 세대 등 모든 차이를 넘어선 거대한 함성이 전국 방방곡곡에 울려 퍼졌습니다. 그 후 우리의 민주주의는 절차적으로 많은 발전을 거듭했습니다.
그러나 19년이 지난 지금 한국의 민주주의는 커다란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민주주의의 심화·확대를 가로막는 제약들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화해와 협력이 진전되고 있지만 남북분단체제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고, 북미 간 대결 상황은 한반도에서의 평화정착을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극심한 사회양국화에 처해 있습니다. 당면한 도전을 창조적으로 극복하지 못하면 우리의 민주주의의 장래는 보장될 수 없을 것입니다.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커져가는 가운데 6월민주항쟁 19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이에 6월 민중항쟁을 어떻게 기념하고 계승·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해, 또한 6월항쟁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면서 민주화·세계화 이후 시대의 한국 민주주의의 현주소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민해 보고자 합니다.
더불어 향후 한국 민주주의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대안들도 진지하게 모색해 보고자 합니다. 부디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06년 6월 15일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 이사장 함세웅
'6월 민주항쟁과 한국민주주의의 현주소'
○ 일시 : 2006년 6월 29일(목) 09:30~18:00
○ 장소 : 한국언론재단(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
○ 순서
▲ 제1부(10:00) : 6월민주항쟁의 기념과 계승·발전
-사 회 : 안병욱
-발표1 : 정해구
한국 민주주의 전개의 특징과 6월민주항쟁의 기념
-발표2 : 김상곤
민주화운동의 계승과 발전 : 87항쟁이후 사회운동의 평가와 전망
-토 론 : 김태일, 이태호, 정근식, 정성헌
▲ 제2부(13:00) : 민주화·세계화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사 회 : 김호기
-발표1 : 박명림
헌정민주주의와 민주헌정주의 : 민주헌정20년의 성찰과 대안
-발표2 : 장상환
세계화 이후 경제·사회 민주주의의 현주소
-토 론 : 김제선, 김형기, 박찬표, 신광영
▲ 제3부(15:20) : 종합토론
-사 회 : 서중석
-기조 발제 : 최장집
한국의 민주화와 제도적 실천으로서의 민주주의
-토론 : 김상봉, 김호기, 손호철, 안병욱, 이병천, 이종오, 정현백
민주화운동 기념사업회